엔진 교환주기는? |
|
 |
오일은 5,000km마다
자주 교환하시는 것이 좋다.
신차에는 첨가제는 삼가고 노후차량에
사용
연료 휠타는 20,000km마다
교환
오일 휠타는 메이커 순정부품사용을
권장
엔진청소는 자주 한다. |
|
냉각수
교환주기는? |
|
 |
부동액은 2년 50,000km
주행 후 교환
서머스타트는 평균 60,000km
주행 후 교환
온도관련센서는 평균 80,000km
주행 후 교환
부동액은 한통 주입보다는 50%
비율 혼합사용
환경오염에 치명적 1L 정화시
10,000L소요 |
|
밋션
교환주기는 언제?? |
|
 |
[수동밋션]
오일교환주기는 25,000km
주행 후 교환
클러치 오일은 평균 25,000km
주행 후 교환
오페라, 마스타 실린더는 누유시
바로 교체
클러치 감각이 무거우면 삼바리,
디스크 교체시기임
케이블 방식차량은 케이블 교환을
우선하여 교환
삼바리, 디스크 교환시 밋션
리테이너 동시교환
[자동밋션]
오일교환주기는 평균 30,000km
이나 운전습관, 도로 사항에
따라 변하므로 유색으로 확인이
정확하다.
유색이 황갈색 및 적갈색이면
교환
신형차종은 오일이 특이하므로
교환시 주의요망
서비스 보증기간이 3년 60,000km
정도로 순정품사용
오일 교환시 사용으로 100%
교환을 추천
수동으로 교환시 3회 이상 반복
작업을 권장
오일 교환 후 2분간 공회전후
유색이 신유 색상이면 좋다. |
|
등속조인트의
교환주기는 언제인가요? |
|
 |
급 출발 및 출발하면서 핸들조작
핸들조작후 출발시 부트파손으로
인한 구리스 누출로 소음발생
및 수명단축을 초래함
엔진오일 교환시마다 점검표 작성보관
점검표 및 작업일지에 따른 피해보상규정
신설 |
|
에어컨
관리방법은? |
|
 |
미 사용시기 가끔 작동하여
준다.
에어콘 가스 부족시 누출 부위를
수리 후 재충전
가스 수명은 영구적이므로 인위적
및 진동등으로 누출시 수리요망
드라이탱크는 4년 정도 사용
후 교환
항균 휠타는 15,000km
사용 후 교환
신차는 4년까지는 점검이불필요하며
드라이탱크 교환시 재충전
적정압 및 주의온도에 따라 변동하므로
보충으로 인한 수명단축보다는
장기간 사용 적당함
참고로 냉장고는 보충 안한다. |
|
벨트류
교환주기는 어떻게?? |
|
 |
일반벨트는 평균 수명이 30,000km
정도 사용 후 교환 교환품은
차내비치하여 비상용으로 구비
타이밍 벨트는 평균 80,000km~85,000km
정도에서 점검 후 교환요망
교환시 워터펌프, 텐션베어링,
리데나 동시교환요망
운행중 단선시 헤드 및 엔진까지
손상되어 수리비 과중됨.
|
|
현가장치는? |
|
 |
요철구간 통과시 서행운행
급커브 지역 고속운행 삼가
쇽업쇼바 고장시 타이어 편마모와
연관됨
활대반도 이음 및 로워볼 주기적
교환 |
|
충전장치의
교환주기는 언제인가요? |
|
 |
휀벨트 교환 후 적정장력유지
과다 장력으로 인한 워터 펌프,
발전기 손상초래
평균 80,000km로 전압체크후
신품으로 교환요망
배터리 잦은 방전은 발전기 수명단축초래
배터리는 평균 수명 2년정도로
정비사 의견에 따라 교체요망
액부족시 교환이 바람직함
보충액 보충시 액비중 저하로
수명은 조금 길어지나 발전기
부하로 수명단축됨
교환시 높은 용량의 배터리를
권장
일반배터리보다 수명이 길다.
|
|
밧데리
관리방법을 알려주세요? |
|
 |
단자부식 발생시 부식부위를
청소 구리스를 바른다.
수명은 보통 2년으로 미리 교환하시는
것이 좋다.
주간운행보다 야간운전이 많은
차량은 일찍 교환
잦은 방전은 수명단축을 초래하므로
정비업소 방문하여 완충전실시
액부족시 보충은 비중저하로 겨울철
배터리 액동결 현상 및 저전압
발생
신품장착되어 있는 배터리는 2년정도
사용후 교환
교환시 높은 용량의 배터리를
권장
배터리 윗면에 출고 연도 확인
요망
할인점 구입품중 장기보전으로
인한 수명이 저하된 제품이 발생될
수도 있으므로 구입시 주의 요망
신품이라도 적어도 1년이상 보관시
재충전하시는 것이 좋다.
또한 장기보전(제작일 오래된
것) 배터리는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
|
점화계통은
평균적으로 언제 교환해야 되나요? |
|
 |
점화플러그는 평균 20,000km(LPG
차량은 15,000km마다)
주행 후 교환
점화플러그 상태로도 엔진상태
파악이 되므로 정비사 조언에
따라 엔진수리요망
점화배선은 정품사용을 권장하며
보통 30,000km 주행 후
교환요망
배선에 흰색을 띠는 부위발견시
전기 누전이 되는 것이므로 바로
교환요망 |
|
배전기는
어떻게 관리?? |
|
 |
역할 : 고압코일에서 발생된
전기를 점화플러그로 분배하는
역할
장기간 사용시 고전압에 의한
카본 축적으로 인한 전압 배분율이
낮아 엔진부조 현상 및 물기둥으로
엔진 멈춤현상발생
교환시기 50,000km 주행
후 교환
배전기 로우터도 함께 교환
|
|
캡
브레이크의 교환주기는? |
|
 |
[앞 브레이크]
브레이크 패드는 보통 교환주기는
30,000km
마모시기 알림은 브레이크 작동시
소음발생
사이드 램프 전등
엔진룸에서 브레이크 오일레벨
저하시 교환
브레이크 패드(ABS 장착,
전바퀴 디스크 장착 차량)교환시
브레이크 오일도 함께 교환요망
뒷 라이닝
보통 교환시기는 70,000km
증상으로는 사이드레바 헐거움
및 브레이크 작동시 소음발생
35,000km 주행 후 점검
및 사이드 조정
뒷 라이닝 교환시 휠실린더 함께
교환이 좋다.
브레이크 오일는 전체패드 교환시기에
함께 교환하시면 수명연장 |
|
연료계통는
언제 교환해야 할까요? |
|
 |
연료휠타는 30,000km
주행 후 교환
휠타내에 부식 및 연료때 등으로
인젝터 부품손상초래
가끔은 불스완샷, 레덱스(5000km마다)등으로
주입 청소
배기가스 저감장치
EGR 밸브
배기가스 재순환장치로 고장시
엔진부조현상 발생
매연발생
50,000km 주행후 흡기매니홀드
청소 및 ISC(공회전조절장치)밸브청소
스로틀바디는 엔진오일교환시 수시로
청소 |
|
타이어의
교환주기는 ?? |
|
 |
스페어(보조)타이어는 스페어로
사용하시고 전체 타이어 교환시
스페어 타이어를 사용하시고 상태가
좋은 타이어를 스페어(보조)타이어
마모상태로 현가장치 및 조향장치
상태파악
정비사 조언따라 수리요망
휠바란스는 25,000km주행후
조정 언바란스시 허브베아링 수명단축
휠얼라이먼트는 교정 전 마모부위
부품 교환 후 시행한다.
마모로 인한 유격이 발생되어
타이어 편마모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므로 원인찾아 교환 후 조정요망휠얼라이먼트
수정차량은 조향장치 및 현가장치
수리시마다 조정
|
|
하체의
교환주기 |
|
 |
로워베어링 수명은 80,000km
정도로 충격 및 접촉사고로 타이어
충격시 수명이 단축됨
증상으로는 소음발생 및 자체
흔들림
점검방법으로는 자체를 들어 올린후
타이를 상하로 흔들어본다.
유격발생시 교환요망
후허브 베어링
라이닝교환후 허브너트 조일때
규정압 이상으로 과다하게 조이면
수명단축 증상으로 소음발생 타이어
톱니모양으로 마모시 점검 요망
교환시기는 80,000km |
|
소음기는
언제 교환할까요? |
|
 |
소음발생시 무조건교환
시중품 교환시 메이커제품 및
Q 마크 확인 후 교환
대우,기아는 시중품과 가격 차이가
없으므로 정품권장
현대차량은 시중품(비픔)과 두배이상
차이이나 KS 메이커 제품사용시
수명차이없음
촉매컨버터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로
백금과 벌집모양으로 이루어져
충격으로 인한 손상될 시 부품이
고가 이므로 요철통과시 주위요망
촉매손상시 고속주행불가 및 언덕
주행시 무거움 현상 발생
엑셀레이터 가속시 소음발생
대부분 운전석 밑부분에 장착되어
쉽게 소음으로 확인 가능 |
|